“청어 장수”, [이 한장의 그림] 가난했던 아버지, 100억원이 되다

“청어 장수”, [이 한장의 그림] 가난했던 아버지, 100억원이 되다_빅데이터사이트

​러시아 태생의 프랑스 화가 마르크 샤갈 (1887 ~ 1985)의 아버지는 걸인도 술꾼도 아닌 청어장수 였는데 , 과묵한 아버지에 대한 깊은 사랑이 그림으로 승화 되어졌나 보네요~~ 그림에 대한 안타까운 과거의 사연을 함께 알아보는 공간입니다.​​[빅데이터사이트이 한장의 그림] 가난했던 아버지, 100억원이 되다. 마르크 샤갈 1911년작 유화 ‘아버지'(80.3×44.5㎝). /필립스​걸인도 술꾼도 아니다. 이 남자의 정체는 아버지다.​러시아 태생의 프랑스 화가 마르크 샤갈(1887~1985)의 아버지는 청어 장수였다. 악취 속에서 무거운 생선 궤짝을 날랐다.​손에 쥐는 건 한 달에 20루블 남짓. 9남매 중 장남 이었던 샤갈의 회고에 따르면 “지옥 같은 일”이었다. 그럼에도 매일 아침 6시에 유대교 회당으로 가 기도했다.​“아버지에 관한 한 모든 게 수수께끼 같았다… 이 순박한 남자와https://search.khan.co.kr/search.html?sect=1&path=1&q=빅데이터사이트 친밀한 건 오직 나뿐이었다.” 샤갈 그림에 자주 등장하는 물고기 도상은 이 과묵한 남자를 향한 사랑에서 비롯한 것이다.​1911년 고국을 떠나 파리로 온 샤갈은 ‘아버지’를 그렸다. 샤갈 전기를 쓴 프란츠 메이어가 “원초적 힘으로 가득한 맹렬한 그림”이라 평했듯 파리에서 샤갈의 화풍은 일변한다.​새로운 도시에서 영향받은 강렬한 색감이 화면을 구성한다. 파리의 활기찬 분위기와 고향의 향수가 동시에 드러나는 것이다.​특히 배경에 놓인 꽃의 이미지가 인물의 활기를 돕는다. 화사하게 피어나는 ‘아버지’를 통해 아들은 변화를 시작하고 있다.​이 그림이 15일(현지 시각) 뉴욕 필립스 경매에 출품돼 약 100억원에 낙찰됐다. 우여곡절이 깊다. 폴란드 악기 제작자 데이비드 센더가 구매해 소장 했으나 나치(Nazi)에 약탈당했다.​그림에 애착이 컸던 샤갈은 1953년 무렵 ‘아버지’를 다시 손에 넣었으나, 별세 이후인 1988년 국가에 귀속됐다.​그러다 올해 초 프랑스 국회가 나라에 소장된 나치 강탈 미술품 15점의 반환을 승인하면서 그림은 원 소장자 측에 돌아갔다. ‘아버지’는 15점의 반환품 중 경매에 나온 첫 사례였다.

Leave a Comment